-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cheduledTimer
- Request
- 명령어
- ios
- substr
- Linux
- Python
- swiftUI
- 오블완
- HTTP
- r
- barplot
- SWIFT
- 티스토리챌린지
- deeplearning
- Observable
- 연산자
- Optional
- rxswift
- ReLU
- 딥러닝
- SQL
- decode
- MVC
- cocoapods
- rest api
- sigmoid
- 시각화
- struct
- tapply
목록전체 글 (126)
iOS 개발 기록 블로그

권한 관리를 잘 알아야 하는 이유 리눅스에서 파이썬 배치 파일을 실행하거나 R 배치 파일을 실행하거나 하둡을 설치하고 운영할 때 여러가지 문제들이 발생하는데 그 중에 가장 많은 문제들이 권한에 관한 오류들이다 권한 관리에 대한 명령어 3가지 1. chmod 2. chattr 3. chown 권한의 종류 1. 읽기 2. 쓰기 3. 실행 권한 관리표 > ls -l -rw-r--r-- 1 xxxxx xxxxxxxx xxx 날짜 시간 권한 부분 설명 권한 대상 chmod 명령어 $ chmod u-w 파일명 결과: -r--r--r-- 1 파일정보 설명) u: 유저 g: 그룹 o: 기타 유저 r: 읽기 w: 쓰기 x: 실행 read only 파일도 '!' 를 붙이고 저장하면 된다. 예) 읽기, 쓰기, 실행권한 모두..

논리 연산자 진리 연산표 True and True True True and False False True or True True True or False True False or False False True and Null Null 만약에 Null이 True 라면 True, False 라면 False True or Null True 만약에 Null이 True 라면 True, False 여도 True False or Null Null 만약에 Null이 True 라면 True, False 라면 False False and Null False 만약에 Null이 True 라면 False, False 여도 False 연산자 우선순위 예제) 아래 식에서 or과 and 중 어느 것이 먼저 수행될까? 식) selec..

시그모이드 함수 시그모이드 함수의 식이 왜 아래와 같을까 통계학에서 성공할 확률이 실패할 확률보다 얼마나 큰지를 나타내는 오즈비율이라는 값이 있다. 오즈 비율 = (성공 확률) / (실패 확률) 성공할 확률 P를 0~1 사이의 값으로 나타내면 실패할 확률은 1-P이다 위의 그래프에서 P(성공할 확률) 가 1에 가까우면 오즈비율 (성공할 확률이 실패할 확률보다 얼마나 큰지) 값이 급격히 커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급격히 커져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함수에 로그를 취한게 logit 함수이다.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P가 0.5 일 때 실패할 확률 대비 성공할 확률이 0이 된다 P = 0.5 일 때는, 0이 되고 P = 1 일 때는, 무한히 큰 양수, P = 0 일 때는, 무한히 큰 음수를 가지는 특..

퍼셉트론과 신경망의 차이점 1. 퍼셉트론은 원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사람이 직접 가중치를 정해줘야 한다 2. 신경망은 가중치 매개변수의 적절한 값을 기계가 데이터로부터 학습해서 자동으로 알아낸다 신경망에 들어가는 함수 1. 은닉층에 들어가는 함수 (신호를 확률로 내보내는 역할) - 계단 함수 - 시그모이드 함수 - 렐루 함수 2. 출력층에 들어가는 함수 (은닉층에서 보내온 확률을 모아 개인지 고양인지 판별) - 항등 함수 (회귀 분석) - 소프트맥스 (softmax) 함수 (분류 문제) 3. 배치 처리하는 함수 신경망 안에 은닉층에 들어가는 활성화 함수 3가지 1. 계단 함수 : 출력 신호가 0 또는 1의 값을 출력하는 함수 2. 시그모이드 함수 : 0 ~ 1 사이의 실수를 출력하는 함수 3. 렐루 함수..

예제) 아래의 식을 파이썬으로 구현하시오 식) b + x1 * w1 + x2 * w2 = ? 답) AND 게이트 예제) AND 게이트를 파이썬으로 구현하시오 보기) 답) 퍼셉트론 게이트 3가지 1. AND 2. OR 3. NAND 4. XOR : exclusive OR 라는 뜻으로 둘 중에 하나만 1일 때 1이 된다. OR 게이트 예제) 위 AND게이트 예제를 수정하여 OR 게이트 함수를 생성하시오 NAND 게이트 예제) 위 예제들을 수정하여 NAND 게이트 함수를 생성하시오 XOR 게이트 단층 신경망과 다층 신경망의 차이 1958년 로젠블래트가 퍼셉트론을 제안을 했다. 1959년 민스키가 기존 퍼셉트론의 문제점을 지적했는데 XOR 분류를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인공지능의 겨울기가 시작되었다. 즉, ..

정수형 자료 자연수 (1,2,3,…) 와 음수 (-1,-2,-3,…) 와 0으로 이루어진 수 체계를 정수라 한다. 예) a = 123 b = -123 c = 0 일반 프로그래밍에서 지원하는 정수형 상수의 범위는 -2,147,473,647 ~ 2,147,473,647 인데 파이썬은 메모리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지원 가능한 수를 사용할 수 있다. 실수형 자료 실수는 소수로 나타낼 수 있는 유리수와 소수로 나타낼 수 없는 무리수로 구성된 집합. 파이썬은 실수를 지원하기 위해서 부동 소수형을 제공한다. 부동 소수형 특징 8바이트만 이용해서 수를 표현한다. 즉, 한정된 범위의 수만 표현할 수 있다. 디지털 방식으로 소수를 표현해야 하므로 정밀도의 한계가 있다. >> 소수점 이하 15자리만 표현하고 끝낼 수 있는 수..

SQL의 join 함수와 비교 SQL R Equi join merge Non equi join merge Outer join merge Self join merge merge " 서로 다른 dataframe의 변수들을 하나의 결과로 출력할 때 사용하는 문법으로 R에서는 merge 함수를 사용해서 구현 " merge(테이블 1, 테이블 2, by = "공통된 컬럼명")[행, 열] emp 테이블 dept 테이블 예제 1) emp data frame 과 dept data frame을 merge 해서 아래 결과와 같이 이름과 월급과 부서위치를 출력하시오 결과) 답) merge(emp, dept, by='deptno')[, c('ename', 'sal', 'loc')] >> merge(테이블 1, 테이블 2, b..

연산자의 종류 1. 산술 연산자: + - * / 2. 비교 연산자: >, =, where > select 주의 숫자와 다르게 문자와 날짜는 ' ' (싱글쿼테이션) 마크로 감싸줘야 한다 order by, where 절에서는 ' ' as 의 경우에는 "OOO" (더블쿼테이션) >> 원래 있는 컬럼은 ' ' 을 쓰며 새로운 값으로 별칭을 정해줄 때는 " " 기타 비교 연산자 between and, like, in, is null between and where문에서 두 값의 사이 예제 2) 월급이 1000에서 3000 사이가 아닌 사원들의 이름과 월급을 출력하시오 select ename, sal from emp where sal not between 1000 and 3000; 예제 3) 81년에 입사한 사원의..

머신러닝의 종류 1. 지도학습 : 정답이 있는 상태에서 학습 예: KNN, decision tree, naivebaisys, 규칙기반, 회귀분석, 신경망 2. 비지도 학습 : 정답이 없는 상태에서 학습 예: k-means 3. 강화학습 : 보상을 통해서 학습 데이터를 만들며 학습 퍼셉트론 퍼셉트론: 인간의 뇌세포 중에 하나를 컴퓨터로 구현해본 것 1943년에 미국의 신경외과 의사인 워렌 멕컬록에 의해서 발단이 되었고 1957년에 프랑크 로젠 블라트가 퍼셉트론 알고리즘을 고안했다. 사람의 뇌의 동작을 전기 스위치의 온/오프로 흉내낼 수 있다는 이론을 증명을 했다. 간단히 말해, 인간의 신경세포 하나를 흉내를 낸 것이다. 고등학교 생물 시간에 배운 3가지 용어 1. 자극 (stimulus) 2. 반응 (re..